swap이란?
-
메모리(RAM)이 부족할 때, 추가적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메모리가 아닌 스왑 파티션에서 실행
-
즉, 메모리 공간이 부족할 때 프로그램이 실행가능하도록 예비공간의 역할을 수행
-
리눅스에서 swap은 컴퓨터의 메모리가 모두 사용되었을 때,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부분을 swap(파티션)이라는 예비 공간으로 사용
-
서버 운영 중에는 이 swap 영역이 특정 threshold를 넘어가서 이를 비워줘야 하는 상황이 간혹 생김
swapon
-
스왑 파티션이나 스왑 파일을 활성화 시키는 명령어
-
스왑의 상태 확인도 가능
-
swapon명령어는 swap으로 쓰이는 파일의 이름, 전체 크기, 사용중인 부분, 우선순위 등이 나타남
-
주요 옵션
옵션
|
설명
|
-a
|
/etc/fstab 파일에 등록된 스왑 영역을 전부(ALL) 활성화시킴 (noauto 옵션이 설정된 경우는 제외)
|
-s
|
스왑 영역의 상태(status) 출력
|
예시)
-
/etc/fstab 파일에 설정된 스왑 영역을 전부 활성화
# swapon -a
-
현재 스왑 상태 출력
# swapon -s
-
아래와 같이 free 명령어로도 비슷한 내용들 확인 가능

swapoff
-
swap을 영역을 비활성화 하는 명령어 (활성화된 스왑 파티션이나 스왑 파일을 중지시킴)
-> 비활성화 시, swap 영역을 비워냄
-
사용법
# swapoff [option] 스왑_파일
# swapoff [option] 스왑_파티션
-
주요 옵션
옵션
|
설명
|
-a
|
모든(ALL) 스왑 영역을 중지시킴
|
-
예시

위처럼 swapoff -a를 통해서 모든 swap 영역을 비활성화 한 다음, 가시 swapon -a 명령어로 swap 영역의 상태를 확인하면 아무것도 나오지 않음
swapon -a 명령어로 비활성화 된 swap 영역을 활성화 시킨 뒤, 다시 swapon -s 명령어로 상태를 확인하면 정상적인 swap 상태가 나옴

'공부 (`・ω・´)ゞ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화벽 설정 및 SELinux (0) | 2023.03.15 |
---|---|
FTP, SFTP, telnet, SSH (0) | 2023.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