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재설치할 경우 참고
베이그런트로 버추얼박스에 가상 머신 설치하기
2.1.1. 버츄얼박스 설치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설치 시 버전 6.1.12 버전으로 설치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_Old_Builds_6_1
설치 시 설정은 디폴트값으로
설치 시 최신 버전으로 다운받으라는 문구가 나오는데 무시
설치 완료
2.1.2. 베이그런트 설치
https://developer.hashicorp.com/vagrant/downloads
사이트 들어가서, 윈도우용으로 설치
2.1.3. 베이그런트 구성하고 테스트
1. 명령 프롬포트를 실행하고 베이그런트 설치 디렉토리로 이동
vagrant init 명령으로 프로비저닝에 필요한 기본 코드 생성
$ cd c:\HashiCorp
$ vagrant init
>> 자주 쓰이는 베이그런트 명령어
vagrant init : 프로비저닝을 위한 기초 파일을 생성
vagrant up : Vagrantfile을 읽어 들여 프로비저닝 진행
vagrant halt : 베어그런트에서 다루는 가상 머신 종료
vagrant destroy : 베이그런트에서 관리하는 가상 머신 삭제
vagrant ssh : 베이그런트에서 관리하는 가상 머신에 ssh로 접속
vagrant provision : 베이그런트에서 관리하는 가상 머신에 변경된 설정 적용
2. 베이그런트 초기화 명령으로 생성된 c:\HashiCorp 폴더의 Vagrantfile을 열고 config.vm.box = "base"라는 내용이 있는지 확인
3. 확인 후, cmd에서 vagrant up 실행
> 에러 발생 (설치하려는 이미지가 'base'로 명시되어 있으나 베이그런트가 해당이미지를 찾지 못 함)
4. 에러 발생하지 않게 운영체제 이미지 선택 (https://app.vagrantup.com/boxes/search)
> 원래는 가상 머신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필요에 맞게 수정해야 하나, 복잡하기 떄문에 만들어진 가상 이미지 사용
5. Vagrantfile 수정 후 저장
> config.vm.box = "base" 를 config.vm.box = "sysnet4admin/CentOS-k8s"로
6. 다시 한 번 vagrant up으로 실행 및 확인
....중략...
** 참고로 진행 마지막 단계에서 발생하는 에러(vagrant was unable to mount VirtualBox shared folders)는 버추얼박스의 게스트 에디션이 설치되지 않아서 발생함.
지금 과정에서는 필요하지 않아 설치하지 않음
7. 설치 후, 버추얼박스 실행해 가상 머신이 잘 작동하는지 확인
8. vagrant ssh 명령을 실행해 설치된 CentOS에 접속
$ vagrant ssh
9. 설치가 정상적으로 이뤄졌는지 CentOS의 실행 시간(uptime)과 운영 체제의 종류(cat /etc/redhat-release)확인
$ uptime
$ cat /etc/redhat-release
10. CentOS가 베이그런트로 버추얼박스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설치한 가상 머신 삭제
$ vagrant destory -f
'공부 (`・ω・´)ゞ >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 구축을 위한 쿠버네티스 도커'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 쿠버네티스 기본 사용법 배우기 (0) | 2023.03.08 |
---|---|
2.3 터미널 프로그램으로 가상 머신 접속하기 (0) | 2023.03.06 |
2.2 베이그런트로 테스트 환경 구축하기 (0) | 2023.03.06 |
1. 새로운 인프라 환경 (0) | 2023.03.03 |